메니에르병정의 및 증상,원인 파악하기

메니에르병정의
메니에르병정의

메니에르병정의를 알기 전,

메니에르병정의를 알기전 동의어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니에르병정의 속  또 다른 이름으로는 내림프수종, 메니에르 증후군으로 지칭을 하고 있습니다.

관련 질환으로는 현훈과 난청이 있는데요. 오늘은 메니에리병정의와 증상 그리고 원인을 파악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메니에르병정의부터 바로 살펴보겠습니다.

메니에르병정의란?

메니에르병정의, 어지럼증, 청력감소와 귀울림 그리고 귀 먹먹함 등이 주요 증상이며 갑작스러우면서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메니에르병정의에 따라 살펴보면, 메니에르병 관련증상 4가지를 모두 경험한 환자가 있고, 한 두가지 정도의 증상만 경험해본 환자가 있습니다.

메니에르병은 달팽이관, 전정과 반고리관을 지칭하고 있는 속귀의 기능이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말합니다.

그리고 메니에르병은 1961년 프랑스에 있는 의사 메니에르가 발견을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렇게해서 메니에르병정의에 대해 확인해보았는데요. 다음은 원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메니에르병정의 속, 원인은?

내림프수종이라고도 일컬어지는데요. 속 귀 안에 있는 관모양 구조물인 내림프관이 있는데 이 기능이 청각과 평형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내림프수종인 메니에르병은 이 내림프관 안에 있는 액체인 내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서 내림프관이 부어오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부어오른 관때문에 속귀 기능에 문제가 생기게 되고, 메니에르병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내림프관 안에서 이처럼 비정상적인 내림프액이 많이 생기는 이유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메니에르병정의 속, 증상은?

메니에르병정의다음으로 주요증상으로는 반복적인 어지러움과 청력저하, 귀울림과 귀 먹먹함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면 어지러움증과 함께 메스꺼움, 구토,두통이 발생합니다.

그렇지만 환자마다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고 다양해서 처음 증상이 나타났다고 모두가 이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어지러움증은 특별한 조짐이 없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정도와 지속시간은 다양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어지러움증 증상은 20분~하루 이상 이어지는 경우가 있고, 회복하는 데까지 소요시간은 1~3일정도 걸리기도 합니다.

어지러움증 빈도는 한 달에 한번에서 10번 이상 다양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생활 속 어지러운 증상이 계속 되고 반복된다면

일상생활을 하는데 큰 지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청력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처음엔 낮은 음에 대한 청력이 사라지다가 서서히 감소가 진행됩니다. 병이 진행이 된다면 점차 모든 청력이 감소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메니에르병의 동반증상으로는 귀울림도 있습니다.

메니에르병 진단은?

내림프수종을 진단할 때는 환자를 직접적으로 관찰하기는 어려운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내림프관이 귀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CT나 MRI같은 장비를 이용하긴 하지만 이 또한 알아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메니에르병의 진단은 청력감소와 어지럼증 양상의 결과로 진단이 됩니다. 그러나 나타나는 증상이 사람마다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정확히 진단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꾸준한 경과를 살펴봐야 합니다. 또한 진단을 내릴 때, 필요한 경우 청력검사, 온도안진 검사 등 추가적인 검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메니에르병 치료는?

메니에르병의의를 넘어 치료까지 왔습니다. 어떤 치료를 진행하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니에르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 중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사람이 있을 뿐만아니라 약물을 투여해도 증상이 너무 심한 나머지 일상생활을 쉽게 할 수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증상은 식사조절을 잘 하는 것만으로도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보통 식사조절과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환자 10명중 8~9명 정도는 다시 일상 생활하는데 가능한 경과까지 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식사조절은 저염식을 하는 걸 말합니다. 소금의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죠. 또한 약물 치료는 항히스타민제, 진정지, 이뇨제 등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증상의 정도를 확인하고 경과에 맞춰 적절하게 사용을 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속귀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파괴하는 수술이 진행되기도 합니다.